🌳 여름철 숲·야외활동 시 주의해야 할 감염병
![]() |
SFTS |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✅ 1.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.SFTS
(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)
-
매개체: 작은소피참진드기
-
감염경로: 진드기 물림
-
잠복기: 7~14일
-
증상:
-
고열, 오한, 근육통
-
구토, 설사, 식욕부진
-
혈소판·백혈구 감소 → 중증 진행 시 다발성 장기부전 가능
-
-
예방:
-
풀밭에 직접 앉지 않기, 긴팔·긴바지 착용
-
외출 후 옷·몸 세척, 진드기 확인
-
📌 국내 치명률 20% 내외로 매우 치명적인 질환입니다.
예후:
-
치명률 약 20~30% (국내 기준)
-
고령자·면역저하자는 사망 위험↑
-
현재까지 특이적 치료제 없음, 조기 진단·대증 치료가 중요
-
✅ 2. 렙토스피라증 (Leptospirosis)
-
매개체: 설치류(쥐 등)의 소변에 오염된 물, 흙/ 인.수(사람과 동물) 공통 전염병
(추수기에 집중 호우나 홍수가 발생했을 때 농작물 피해 방지나 재해 복구 작업 등에 종사한 농부, 군인, 자원봉사자들에게 자주 발생) -
감염경로: 상처난 피부·점막으로 감염
-
잠복기: 2~26일
-
증상:
-
발열, 두통, 근육통,
-
결막 충혈, 황달, 간부전, 신장 기능 이상
-
-
위험 환경: 논, 고인 물, 풀밭에서 맨발 작업 시
예후:
-
대부분은 1~2주 내 회복
-
중증일 경우 폐출혈, 급성 신부전, 사망 가능성 있음
-
조기 항생제 치료 시 예후 매우 좋음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-
✅ 3. 쯔쯔가무시증 (Tsutsugamushi disease)
-
매개체: 털진드기 유충
-
감염경로: 유충에 물림
(9~12월에 벌초나 밤을 따는 등 산에 갔다가 털진드기에 물려 감염) -
잠복기: 6~21일
(털진드기유충에 물린 뒤 1~3주 후에 갑자기 오한, 발열, 두통 시작 이어 기침,구토,근육통,복통및 인후염 동반되며 발진(전신)과 가피가 나타난다. -
증상:
-
고열, 두통, 발진
(간지럽지 않은 홍반성 구진성 발진이 몸통에서 상.하지로 퍼진다. 발진은 3~5mm의 홍반성 반점으로 경계가 명확하며 서로 합쳐지지 않으며, 눌러보면 붉은색이 없어져 자반 같은 출혈성 병변과 구별된다. 1~2주 지나면 소실된다.) -
특징적 증상: 검은 딱지(가피)
-
-
주의시기: 봄~가을(특히 10월 이후 집중), 하지만 초여름에도 발생 가능
예후:
-
항생제(독시사이클린) 치료 시 대부분 완치 가능
-
치료 지연 시 폐렴, 뇌염, 쇼크 등 합병증 가능성
-
치명률 0.5~1.5%, 고령자 위험 높음
-
✅ 4. 신증후군출혈열 (유행성출혈열, HFRS):Hantan virus
-
매개체: 들쥐의 배설물(등줄쥐),설치류간 전파
-
감염경로: 배설물이 말라서 날린 먼지를 호흡기를 통해 흡입
-
잠복기: 2~3주(9일~ 35일)
-
증상:
-
고열, 근육통, 복통, 요통, 피부 홍조, 결막충혈
-
신장 기능 저하, 혈소판 감소, 출혈
-
-
예방: 산장·농막 등 청소 시 마스크 착용, 환기 필수
예후:
-
치사율 약 1~5%, 대부분은 회복
-
경증~중등도는 회복이 빠름
-
예방백신(한타박스) 존재 → 고위험군 접종 권장
-
✅ 5. 야생 진드기 유래 라임병 (현재 국내는 희귀하지만 가능성 있음)
-
매개체: 참진드기류, 사슴진드기
-
감염경로: 진드기 물림
(진드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나선형의 보렐리아(Borrelia)균이 신체에 침범하여 일으키는 감염질환) -
증상:
-
피로, 두통, 발열, 피부발진
: 진드기에 물린 부튀로부터 홍반, 붉은 원 무늬 반점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확대된다. -
이동성 홍반(표적 모양 발진)
-
-
예방: 진드기 기피제, 즉시 제거
예후:
-
조기 항생제 치료 시 대부분 완치 가능
-
치료 지연 시 관절염, 신경계 이상(뇌막염), 심장 질환 등 만성 합병증 가능
-
💞 예방 수칙 요약
항목 | 수칙 |
---|---|
🧢 복장 : | 긴팔, 긴바지, 양말, 모자 착용 |
🧴 기피제 : | 진드기 기피제 사용 (DEET 또는 이카리딘 성분) |
🪵 행동 : | 풀밭에 앉지 않기, 눕지 않기, 피부 노출 최소화 |
🧼 귀가 후 : | 옷 바로 세탁, 샤워로 진드기 확인 |
🧹 활동 전·후 : | 창고·축사·산장 청소 시 마스크 착용, 충분한 환기 |
💉 예방접종 : |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 가능 (군인·농부 등 고위험군 대상) |